PRODUCTDESIGN_UXUI 35

UX 디자이너의 실제 업무 (출처 : Adobe - Creative Dialogue)

출처 : https://blogs.adobe.com/creativedialogue/ko/design-ko/what-does-a-ux-designer-actually-do/ 사용자 경험(UX) 디자이너는 요즘들어 많이 듣게 되는 직책입니다. UX 디자인은 제품 개발로 이어지는 핵심적 분야이지만 비교적 생소함 때문에 이 직종의 업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누군가가 “저는 UX 디자이너입니다”라고 말하면 이들이 실제로 매일 어떤 일을 하는지 머리에 바로 떠오르지 않습니다.필자는 UX 디자이너가 어떤 일을 하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UX 디자인의 정의오랫동안 디자인은 제품의 “모양” 측면에서 그래픽 디자인과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

[LG경제연구원]-모바일 시대의 경쟁력, 스마트한 UX

출처 : LG 경제 연구원http://www.lgeri.com/report/view.do?idx=17381 #IT 사용 환경이 PC가 아닌 모바일 기기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이에 적합한 서비스 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직관적 사용환경, 경험의 동기화, 개인화 및 맞춤화를 통해 서비스 체감 가치를 높여주는 스마트 UX를 제공하려는 노력들이 활발하다. 스마트 UX는 모바일 기기의 태생적 한계로 인한 불편을 해소해 줌으로써 사용자들에게 가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업에게도 더 나은 서비스의 선순환을 유도하는 모바일 시대 경쟁력이 될 것이다. IT 사용 환경의 중심은 더 이상 PC가 아니다. 스마트폰,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항상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이 급속도로 늘어났으며, 네트워크 및 기술의 발달..

[기사]'SKT+지상파' 연합군 탄생…유튜브·넷플릭스 공세 막고 글로벌 진출

출처 : http://www.edaily.co.kr/news/read?newsId=04346006622353784&mediaCodeNo=257&OutLnkChk=Y&fbclid=IwAR1C4pg-J2N8NA7qD4oFFoeB7XoBGcQgNp7VCt2E9pO_tR6VSzASp1KzCBA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SK텔레콤이 자회사 SK브로드밴드를 통해 지상파 콘텐츠 인터넷스트리밍방송(OTT)인 ‘푹’의 지분 30%를 보유하면서 국내 최초로 ‘지상파-IT기업’ 미디어 연합군이 탄생했다. 국내 미디어 시장이 유튜브 천하이고 LG유플러스 IPTV와 제휴한 넷플릭스의 공세도 만만찮은 상황에서, SK와 혈맹한 지상파 3사 투자업체 ‘푹’의 경쟁력이 얼마나 커질지 관심이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에 따르면 2018년..

[관련기사] -[신년기획/5G①] 이동통신 35년, 5G 시대 도래…1·2·3·4·5G, 차이점은?

- 5G, 4G 대비 속도 20배↑·지연시간 10배↓·용량 100배↑…한국,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 상용화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작년 12월1일 한국은 세계 최초 5세대(5G) 이동통신을 상용화했다. 5G는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이 특징이다. 정보통신기술(ICT)과 다른 산업의 융합 마중물로 여겨진다. ‘세계 최초 상용화=주도권 확보’는 아니다. 경쟁은 이제 시작이다. 에서는 5G란 무엇이고 어떤 기회가 있는지 알아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2019년은 한국 이동통신 35주년이 되는 해다. 1984년 1세대(1G) 이동통신은 자동차에서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카폰이 한국 이동통신 역시의 출발점이다. 휴대폰이 등장한 것은 1988년이다. 아날로그 방식을 디지털 방식으로 바꾼 것은 1996년이다. 세계 ..

고객 중심 경영의 요체, 사용자경험(UX)

#전 산업의 과제로 떠오른 UX, 차세대 경쟁의 場 사용자경험(UX: User eXperience)이 오감과 가상의 다차원 경험 시대에 돌입했다. UX란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겪는 감정, 태도, 행동 등 모든 인지·반응을 포괄하는 말로,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품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UX의 핵심이며, UI(User Interface)는 UX를 구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사실 UX의 개념은 패션, 자동차, 건축, 산업재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이미 적용되어 왔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IT가 제공하는 경험이 한층 풍부해지고 ICT 융합이 보편화되자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다채로운 UX 제공이 전 산업의 과제로 떠오르게 됐다. 이를 반영해 글로벌기업들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UX를 제공하기 위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