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1-1. 서비스 세일즈의 이해

ssskeun 2018. 11. 18. 22:18

 

 
 
  • 서비스
 
 
  • 서비스 세일즈의 개념
 
 
  • 서비스 세일즈의 역할

     

 

 

 


1. 서비스

 
 

서비스의 어원 : 라틴어의 노예를 뜻하는 '세르부스(Servus)' 라는 단어, '시중들다' 라는 의미에서 의미하였다.

협업의 서비스 : 고객 또는 이용자의 편익을 위한 노력이나 기능이다.
   광의의 서비스 : 물질적 재화 이외의 생산이나 소비에 관련한 모든 경제 활동이다.
 
 

서비스 특징

     무형성(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품질 평가하기가 어렵다.)
     비분리성(생산과 소비의 분리가 안된다.)
     이질성(품질이 균일하지 않고, 그 차이도 일정하지 않다.)
     소멸성(공급과 동시에 소멸되어 재고로 보관할 수 없다.)
 
서비스의 3단계 : 사전 서비스, 현장서비스, 사후서비스
 

 

2. 서비스 세일즈의 개념

 

- 세일즈 :

   설득력이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 이익이 되는 계약을 성사 시키는 일이다.

   기업이 고객을 잘 이해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다.

   기업의 입장에서 제품의 특징과 장점을 부각하여 고객에게 알리는 활동을 말한다.

   마케팅 전략이 이루어진 후 최종적으로 클로징에 이르게 되는 전술이라고 할 수 있다.

 

- 서비스 세일즈의 의미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세일즈 토크를 통해 고객의 구매 의사 결정을 자극하는 것이다.

   만족감을 느끼고, 고객충성도를 높여 재구매시에 원래의 서비스 세일즈맨을 찾도록 열정적인 세일즈를 수행하는 것이다.

 

- 서비스 세일즈의 등장 배경

   21세기 최고의 세일즈 맨 = 스티브잡스 (교수님 의견)

   고객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초과하는 시대로 적극적인 세일즈 활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품과 서비스가 평준화 되었다.

   고객의 욕구가 다양해졌다.

   고객 욕구 수준이 상승되었다.

 

- 서비스 세일즈의 특징

   핵심은 서비스 직원이다. 

   마케팅 주체가 서비스 직원이다.

   판매 전 활동과 판매 후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

 

- 서비스 세일즈 관련 용어     

   세일즈 엔지니어(Sales Engineer) : 고객에게 기술적 지도까지도 할 수 있는 판매원이다. 

   세일즈 토크(Sales Talk) : 서비스 세일즈맨이 상품을 팔기 위해 행하는 상담이다.

   세일즈 에이드(Sales Aids) : 판매 활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자료와 도구의 총칭이다.

   세일즈 포인트(Sales Point) : 판매 시 강조할 상품이나 서비스 특징이다.

   세일즈 프로모션(Sales Promotion) : 잠재고객에게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갖도록 하거나 그 욕구를 더욱 크고 강하게 부추기는 판매촉진활동이다.

 


 

3. 서비스 세일즈 역할

 

- 서비스 세일즈 모델 : 

   기업은 상품 개발과 생산을 한다

   서비스 세일즈는 기업과 시장을 연결하고, 판매와 고객관리를 한다.

   고객은 수익의 근원이다.

 

- 서비스 세일즈의 기능   

   기업과 고객을 연결 한다. (서비스 세일즈는 기업의 상품을 서비스로 좀 더 가치 있게 포장하여 상품을 제대로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고객을 창조한다. 

   고객을 관리한다.

   기업 브랜드를 향상한다.

   수익을 증대 시킨다.

 

- 서비스 세일즈의 활동 형태

   직접 서비스 세일즈 :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고객과 직접적으로 교류하며 판매까지 이루는 것이다.

   간접 서비스 세일즈 : 직접 영업의 제품 판매 영역에 고객 창출 및 유지 관리 등의 관리적 측면이 추가된 것이다. 대부분 기업들의 서비스 세일즈는 간접이 대부분을 차지

   관리 및 지원 서비스 세일즈 : 현장 일선에서 발생하는 활동들에 대한 매출 분석, 서비스 세일즈 인력 관리, 매장 관리, 제품 관리, 수/발주 관리, 세일즈 활동 비용 관리, 세일즈 활동 평가 및 분석 등의 지원 형태를 의미 한다. 관리적 측면이 매우 부각된 직무 형태다.

 

 

 

 

 

 

 

   

 

 

반응형